아큐인사이트플러스(Accuinsight+)는 빅데이터 Biz 모델 구축을 통해 정확한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는 빅데이터 통합 분석 플랫폼 서비스입니다. 아큐인사이트플러스는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 분석 시각화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온프라미스 환경 제약이 없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장점입니다. 지난 8월 29일 DNA 2018 행사 현장에서도 데이터를 활용해 단 몇 분만에 모델이 구축됐습니다. 가상의 진료내역 데이터를 분석을 시도하자 성비, 연령대 그룹 분포도, 지역코드 별 환자수 분포도 등 시각화 자료가 바로 제공됐습니다.이는 샌드박스를 활용해 머신러닝 모델을 생성할 경우 다양한 예측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일례로 가격예측, 수요예측, 양불판정, 개인화 추천 등이 ..
메타데이터(Metadata)란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컨텐츠에 대하여 부여되는 데이터입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사진을 찍어 기록할 때마다 카메라 자체의 정보와 촬영 당시의 시간, 노출, 플래시 사용 여부, 해상도, 사진 크기 등 사진 정보를 화상 데이터와 같이 저장하고 이런 정보를 메타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데이터는 이미지, 영상, SNS에서 오가는 대화들처럼 복잡하고 용량도 클 뿐만 아니라 구조화돼 있지 않아 빠른 검색이나 분석이 쉽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들이 다수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데이터베이스(DB)를 사용한다는 것은 필요한 정보를 추출해서 활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러나 비정형 데이터는 전..
오브젝트 스토리지(Object Storage)란? 클라우드 데이터 저장 공간으로서 비정형 데이터 -일정한 규격이나 형태를 지닌 숫자 데이터와 달리 그림이나 영상, 문서와 같이 형태와 구조와 각기 다른 구조화 되지 않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최근 수년간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방대한 양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객체 저장소’라고도 불리고 있는데, 파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오브젝트 스토리지의 절대강자 Cloud Z의 오브젝트 스토리지!! Cloud Z의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사내 구축 환경 또는 호스팅되는 Cloud Z의 클라우드 환경에 ..
지난 23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제조 기업사 CIO와 임원 100여명을 대상으로 ‘제조산업 혁신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DT) 세미나’가 개최됐습니다. 이번 행사는 '4차 산업혁명'의 테두리에 있는 최신 디지털 기술과 환경이 경영성과를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함에도 불구하고 신기술을 어떻게 적시적소에 적용해야 할지 몰라 고민하는 고객들을 위한 맞춤형 해법을 제시하고자 마련 됐습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제조산업 현장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인공지능∙딥러닝∙머신러닝∙빅데이터∙클라우드 등의 신기술 및 솔루션을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됐습니다. "제조 산업은 상당히 융합화 된 새로운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제조산업은 성장 정체 상태에 머무..
인공지능을 활용한 글로벌 마켓 상품 센싱 Pilot 프로젝트 (Data서비스팀 김병일 수석)마켓을 센싱한다는 것은 거시 경제, 해당 산업의 동향, 기업 실적 등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금융에서는 Quant Model을 이용해 시장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주로 정형 데이터를 시계열 분석을 통해 수학적으로 분석합니다. 하지만 주가 예측만 봐도 정형 데이터 기반의 수학적 분석은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펀드도 마찬가지입니다. 수익률이 떨어져 고객이 상품을 외면하면 수수료 수익이 감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점을 착안해 Pilot Project를 통해 Watson을 기반으로 정형 및 비정형 금융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익률 높은 펀드 상품을 센싱해 보았습니다.여러 요소가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시장이 좋아야 펀드의 ..
학부시절 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을 전공을 했습니다. 의료기기와 전기전자 분야를 접목시킨 학문입니다. 군(대학 ROTC) 전역 후 전공을 마치고 나니 인공지능 신호처리에 대한 학문에 관심이 커졌고, 결국 더욱 깊이 있는 공부를 하기 위해 대학원을 진학하게 됐습니다. 처음 대학원에 들어갔을 때는 관련 연구와 스터디를 따라가기가 어려웠습니다. 대학원에서 기술적 부분에만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지만, 우리회사에서는 기술적인 부분과 더불어, 비즈니스적인 부분에도 관심을 가지고 일하고 싶습니다. 단순한 연구소가 아닌 회사이기 때문에 좀 더 넓게 시야를 확장시켜서 보는 것이지요. 인공지능이 관여하는 산업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해내고 싶습니다. 꿈을 크게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 Total
- 5,170,548
- Today
- 4
- Yesterday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