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뉴욕 타임스퀘어에 가족여행을 갔습니다. 기쁨도 잠시 수많은 인파속에서 내 아이를 잃어버릴까 걱정이 앞섭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십시오. 여기 인간을 돕는 따뜻하고 똑똑한 눈의 Vision AI, aiden이 있으니…“ aiden은 얼굴 인식 API와 객체 인식 API로 구성된 새로운 인공지능 서비스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사람과 사물을 인지하고 분석하는 인공지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인공지능 서비스’라고 말한 이유는 기존에 선보였던 ‘이미지 인식 서비스’와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aiden은 얼굴 인식 분석은 물론 사물의 종류, 개수, 크기, 위치까지 파악할 수 인공지능입니다. 누구든 찾을 수 있다. ‘관심인물’ 찾아주는 AI 얼굴 인식 API는 사진과 녹화 영상, 실시간..
에이브릴 포털 사이트(www.aibril.com)서 회원 가입 후 누구나 확인 가능산업별·업종별 자신만의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케 하는 밑거름이 되길 희망 인공지능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한 번에 해결해 줄 AI 카탈로그가 나왔다.에이브릴 포털 사이트 (www.aibril.com)에서 이북(eBook) 형태로 제공되며, 에이브릴 포털 회원 가입 후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다. 고객사들은 에이브릴 카탈로그 상의 산업별 활용 사례를 적용코자 할 경우, 에이브릴 포털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한 자체 개발은 물론 SK㈜ C&C와 에이브릴 파트너사들의 도움을 받아 자신만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생활 편의 분야에서는 대형 쇼핑몰 등에서..
챗봇∙홈쇼핑주문∙채용서류심사∙금융시장센싱∙컨시어지로봇 등 에이브릴 실사례 공유클라우드 제트, BP사 대상 무상 서비스 및 쇼핑몰∙게임사 이용 사례 등도 소개 이 날 세미나에는 비즈니스 파트너(Biz. Partner, 이하 BP)사 대표 80여명과 SK㈜ C&C 이문진 Aibril플랫폼본부장, 신현석 CloudZ플랫폼본부장이 참석했다. 이날 세미나는 에이브릴(Aibril), 클라우드 제트(Cloud Z)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 전환) 사업 추진 현황을 소개하고 BP사들과의 실질적 DT 사업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의 자리로 구성됐다. BP사와 협력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 적용중인 ▲홈쇼핑 자동 주문 ▲채용 서류 심사 등의 성공사례 발표를 통해 BP사들로..
자연어 이해 서비스(NLU) API는 총 9가지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중 감정(Emotion)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들에 대해 모두 한글이 지원됩니다. 하단의 표는 자연어 이해 서비스(NLU)가 지원하는 기능을 나타낸 것인데, 붉은 박스 표기가 이번에 추가된 3가지 기능입니다. 지금부터 업데이트 된 3가지 기능, 개체(Entities), 키워드(Keyword), 의미역(Semantic Role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체 (Entities)]먼저 AIBRIL Portal의 데모 application을 활용하여 해당 기능을 확인해보겠습니다. 먼저, 손흥민의 기사 중 챔피언스리그에서 골을 기록했다는 기사의 일부를 넣었습니다. 위의 기사를 넣고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림에서 ..
안녕하세요. 에이브릴 에반젤리스트 김남일 입니다. 그럼 자연어 이해 서비스가 갖고 있는 기능을 세부적으로 말씀 드리겠습니다. 가령 특정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할 경우 예를 들어 CNN사이트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면 그에 대한 결과로 News/Entertainment/Movies와 같이 관련된 카테고리들을 맺어주게 됩니다. 이와 같은 카테고리는 최대 5개의 분류 체계로 미리 정리되어 있으며,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로는 특정한 글을 분석하여 그 글이 어떤 컨셉의 글인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만일 에이브릴에 대한 설명자료가 있는데 이를 입력한다면 인공지능이라는 컨셉을 도출한다고 이해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개체(Entities)라는 도구는 텍스트 내에서 언급된 사람이나 장소, 사건 등을 식별해낼 ..
대화 서비스(Watson Conversation)API Tool을 활용하여 챗봇을 개발해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인사말부터 시작해서 인텐트를 생성하고, 그에 관련된 질문을 입력하고, 새로운 질문이 들어왔을 경우 이를 재학습 하기까지 수많은 반복 작업과 데이터에 대한 고민이 수반되어야 함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간혹 Aibril은 이런 질문들을 많이 받고 있는데요. “혹시 미리 만들어진 대화 모델은 없나요?”“현재까지의 대화 내용에 대한 통계를 볼 수 있는 방법은요?”이런 많은 고민들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고자, Aibril은 ‘Chatbot Framework’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Aibril Chatbot Framework’ 통해 기본적인 인사말이나 특정 도메인에 대한 질문에 개발자의 대화모..
오늘은 ‘문화와 예술을 만난 인공지능’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예술’의 정의를 살펴보면, 결과를 제공하는 사전마다 조금씩 다르게 설명을 하고 있지만 “예술이란 인간의 활동이다”라는 공통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그동안 예술 분야는 인간만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고유한 영역으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창작 분야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더 이상 인간에게만 허용된 영역이 아닌, 창작의 범주가 시대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죠. 인공지능이 문화와 예술 분야로 영역을 넓혀 가면서 그들이 보여주고 있는 활약, 그 놀라운 활동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름다움을 뛰어넘은 패션 디자이너] ‘Cognitive Dress’ 2016년 뉴욕의 패션 행사(Met ..
지난 8월 12일 토요일, 한 여름의 뜨거운 태양보다 더 HOT한 곳을 다녀왔답니다. 바로, AIBRIL Mini Makeathon이 열리는 팹랩(FabLab)_서울입니다. 팹랩(FabLab)_서울은 이전 ’에이브릴 워크샵’때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이곳을 다시 한번 소개해드리자면, '제조 연구실(fabrication laboratory)'의 준말로 상상하는 거의 모든 것을 만들 수 있는 미래형 아티스트들의 공동 대장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이커톤(Makeathon)은 ‘만들다(Make)’와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로 주어진 과제에 맞춰 팀 별로 기획부터 제품의 구현까지 전 과정을 진행하는 대회인데요. AIBRIL Mini Makeathon도 이처럼 참가자들이 팀을 이루어 AIBRIL A..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