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은 세종 28년(1446년) 9월(음력) 세종대왕이 을 반포한 날입니다. 한글을 창제하여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訓(가르칠 훈)民(백성 민)正(바를 정)音(소리 음)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현재 우리가 쓰는 한글의 옛 이름이자 우리글의 창제 목적과 글자를 만든 원리, 글자 쓰는 법을 해설한 책이랍니다. 한글은 글자와 소리가 1대1로 대응되는 특성 덕분에 뛰어난 음성인식률을 보이고 있어, 인공지능 서비스에 무한한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2017년 9월SK㈜ C&C와 IBM왓슨이 한글날을 앞두고누구나 인공지능 서비스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인공지능 한국어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기존. 익숙함. 벗어나다.Q. 디자이너 김기조가 시도한 ‘이상한 일’은 무엇인가요? 규칙과. 질서를. 파괴하는. 시도.디자인이 내용을 담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죠. ‘파랑’이라는 것을 디자인으로 표현한다고 할 때, 빨간색을 사용할 수도 있고 ‘부드러움’을 표현할 땐 딱딱하고 직선적인 것으로 부드러움을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디자인은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목적을 두는 것이지, 그것을 어떻게 충실히 설명하느냐는 목적의 일부일 뿐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레터러로서 제가 그려내야 할, 표현해야 할 글자의 형태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실험을 늘 하고 있죠. 특히, 레터링 작업은 한글이 본래 가지고 있는 형태나 규칙을 깨는 시도에 자유롭죠. 예를 들면, 전체적인 형태의 완성..
- Total
- 5,170,670
- Today
- 52
- Yesterday
-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