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첫 발을 떼기 위한 용기이다.”, -크리스 앤더슨-말을 잘하고 싶은 사람, 프레젠테이션을 잘하고 싶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에게 하는 ‘질문’을 보며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하는 대부분의 질문이 스킬적인 부분이었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의 스피치 혹은 프레젠테이션이 매우 ‘스킬적인 부분’에 치중해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좋은 발표란 좋은 발표 스킬에서 나온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았다. 맞는 말이다. 좋은 발표를 위해 스킬적인 부분도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이는 마지막 단계이다. 본질이 아니란 뜻이다. 그러다보니 아이러니하게도 전문적으로 발표를 하는 ‘프리젠터’인 내가 ‘콘텐츠의 중요성’에 대해 계속해서 외치게 되었다. 오늘은 ‘콘텐츠..
'사실을 말하면 나는 배울 것이다. 진실을 말하면 나는 믿을 것이다.그러나 나에게 스토리를 말해주면 그것은 내 마음 속에 영원히 남을 것이다.' -인디언 속담- 5년차 전문 프리젠터로 치열한 경쟁의 현장에 서는 사람으로서 누구보다 그 긴장감과 부담감을 잘 알고 있기에, 진심을 담아 세상의 모든 '준비자'들을 위해 이야기를 건넨다. 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스토리'에 대해서 말이다. 그리고 지난 시간 동안 내가 깨달은 것이 있다. 청중의 고개를 자주 끄덕이게 하고 그들을 '우리편'에 서게 하기 위해서는 발표 내용을 전달자의 입장에서 수동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하게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나만의 이야기'로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자신만의 이야기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몰입'이 필요하..
포브스 선정 2015년 30세 이하의 영향력 있는 인물! '세계적인 1인 크리에이터 미쉘 판'의 이야기 입니다.우리나라도 연수입 1억원 정도는 우습게 넘기는 1인 크리에이터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자신만이 갖고 있는 재능으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엄청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한 것입니다. 이런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1인 미디어 시장에 당당히 출사표를 던진 '미디어자몽(http://www.zamong.co.kr)김건우 대표'를 만나보았습니다. 미디어시장에 뛰어든 계기, 그리고 미디어자몽과 함께 한 스토리..방송에 미련이 많이 남은 저는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섰습니다. 그때 제 머릿속을 스치고 간 생각이 “에잇~ 안 뽑아주면 내가 그냥 방송국 하나 차려버리지 모~” 이거였습니다. 당시..
72초의 콘텐츠는 짧고, 재미있다. 72초가 만든 드라마는 속사포 내레이션과 함께 진행되는 스토리 전개로 2분 내외면 에피소드 한 편, 20분이면 시리즈 전 편을 보기에 충분하다. 기업과의 콜라보레이션 콘텐츠는 ‘광고는 콘텐츠 채널에 올릴 수 없다’는 한 포털 사이트의 콘텐츠 게시 정책도 바꿔 놓았다. TV 방송 채널에서 방영되면서 모바일 콘텐츠의 물리적 플랫폼 장벽을 허물었고, 미국과 중국 등 해외에도 진출했다. 국내외 콘텐츠 유통 플랫폼 사이를 종횡무진 누비는 72초.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는 72초 성지환 대표의 게임은 무엇일까. Q. ‘72초’는 무슨 일을 하나요? 72초는 2분 내외 길이의 리드미컬한 콘텐츠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온라인 콘텐츠는 소재에 대한 규제나 정해진 형식이없..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