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희의 일상심리 Ep.1] 회의실에 숨겨진 심리 엿보기
어떤 상황이 회의 참석자들의 심리에 의도치 않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는가? 잘못 해석된 부분은 없는가?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돌아보자. 올바른 소통을 통해 최선의 결정이 이루어졌다는 확신 있는가? 그렇다면 업무 진행에 더 큰 힘을 실어 줄 것이다. 오늘 분위기가 수상할 정도로 좋다? 그리고 빨리 결정해야 하잖아. 집단이 한 목소리를 낼 때 리더는 이를 문제로 인식하고 '선의의 반대자' (devil's advocate)를 지정해 두거나 다양한 의견 수렴을 위한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그는 왜 침묵하는가? 괜히 반대했다가 나만 고립될지도 몰라. 그냥 조용하게 있자”독일의 여성커뮤니케이션학자 노엘레 노이만(Elisabeth Neolle Neumann)이 주장한 침묵의 나선이론 (Spiral of Silence ..
<40>최성훈 팀장 닐스 플레깅 “언리더십(Un-Leadership)” & 이어령, 이재철 “지성과 영성의 만남”
“언리더십(Un-Leadership) “ (닐스 플레깅 지음) 언젠가 한 지인이 리더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고 질문했을 때, 전 서슴없이 ‘성과’를 만드는 사람이며, ‘의사결정자’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다른 지인으로부터 똑같은 질문을 받았을 때 대답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이 책을 읽은 후 다시 동일한 질문을 받는다면, ‘리더란 리더의 자리에 있으면서도 리더십(흔히 통상적으로 리더에게 기대하는 행동)을 발휘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대답할 것 같습니다. 물론, 조직의 상황과 업무스타일에 따라 발휘되어야 하는 리더십의 행동이 다릅니다. 그렇기에 본 책은 또 다른 리더십의 관점을 갖게 해주었습니다. 회사의 리더십 진단 결과를 보거나 타 리서치 자료들을 보면, 많은 구성원들이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