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맞는 사무 가구를 인공지능이 찾아 준다정보의 과잉으로 소비자들은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보 과잉 시대에 자동으로 자신의 성향에 맞는 제품을 찾아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일룸 DESKER에 SK(주) C&C AIBRIL을 접목시켜 개별 성향을 분석하고 간단한 설문 답변과 연계해 개인에게 맞는 책상·책장·테이블 등을 추천해주는 서비스가 출시 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객맞춤 서비스를 도입한 배경은? 서비스 도입 후 고객 및 업계 반응은 어떠한가요?인공지능이 가구를 추천해주는 서비스 이용해 보니 어떤신가요?에이브릴 성향분석(PI)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주세요.가구 외 도입이 가능한 서비스나 산업은 또 무엇일까요? 이제 발품 팔지 마시고, 인공지능 AIBRI..
첨단 IT기술과는 거리가 멀었던 가구도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스마트한 가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하게 원자재만을 사용해 완성했던 가구에서 벗어나 인공지능 기술,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접목시켜 사용자의 생활 편의성을 높여준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등의 기술과 가구가 융합된 미래형 스마트 가구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공지능과 가구의 결합 최근 몇몇 기업에서 가구에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하여 고객 맞춤형 스마트 가구 제공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침대, 책상, 의자, 쇼파 등의 가구를 IT 디바이스와 연동해 사용자의 상태에 맞춘 스마트 가구로 변화시켜 제공하기도 합니다. 스마트 가구는 인공지능이 높이, 크기 등 사용자의 상..
인공지능은 알게 모르게 우리의 생활 곳곳에 적용되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적용된 ‘초개인화(hyper Personalization)’ 시대가 열리고 있는 것입니다. 네이버의 ‘에이아이템즈(AiTEMS)는 쇼핑·검색·네이버 뉴스 및 TV 등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에 남긴 이력을 기반으로 고객의 관심사를 분석해 취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해주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아웃도어 브랜드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는 ‘플루이드 엑스퍼트 퍼스널 쇼퍼(Fluid Expert Personal Shopper)’라는 인공지능 기반 쇼핑 도우미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미국의 패션 브랜드 타미힐피거(Tommy Hilfiger)도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타미힐피거 본연의 스타..
SK㈜ C&C 인공지능 에이브릴 활용해 고객맞춤형 가구 추천 서비스 도입에이브릴의 성향분석 API를 활용해 고객의 SNS·설문 답변 분석성격특성과 욕구를 조합·분석해 12개 타입의 성향 도출, 성향별 가구 추천케 설계다음달 7일, ‘서울디자인리빙페어’에서 ‘데스커 부스’를 통해 체험 가능 SK㈜ C&C의 인공지능 서비스 에이브릴(Aibril)이 나의 성향을 고려한 맞춤형 사무 가구를 찾아 주기 시작했다. SK㈜ C&C(사업대표 사장:안정옥, www.sk.co.kr)는 27일 일룸(퍼시스 회사계열)의 스타트업 가구 브랜드 ‘데스커(www.desker.co.kr)’가 에이브릴 성향 분석(Personality Insight) API를 활용한 ‘고객 맞춤형 가구 추천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밝혔다.SK㈜ C&C ..
- Total
- 5,171,076
- Today
- 94
- Yesterday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