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 Data의 구성요소로서 규모(Volume)의 증가, 다양성(Variety)의 증가, 복잡성(Complexity), 속도(Velocity)의 증가를 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갖고 있는 고객사에서 SK C&C가 수행한 사례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그것은 바로 국민연금공단의 CRM시스템 입니다. CRM 시스템은 주로 민간기업에서 고객분석을 통해 마케팅 활동에 활용하는 시스템을 떠올리게 되는데, 공공기관인 국민연금공단에서 왜 CRM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것에 빅데이터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궁금해집니다. 2010년 6월 오픈한 국민연금공단의 CRM 시스템은 CRM 통합마트, 여론분석 시스템, 캠페인 시스템, 데이터 마이닝으로 구성되었다. 여론분석 시스템의 경우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여론..
Data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관점 중 하나는 Data의 생성 주체로, 인간이 만들어 내는 Data와 기계가 만들어 내는 Data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후자를 영어로 'Machine-generated Data'라 부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기업은 Splunk (http://splunk.com/) 로, 기계가 만들어 내는 엄청난 양의 Data를 Monitoring 하고 분석해 Business Insight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Machine Data 앞서 말씀 드린 Machine-generated data를 Splunk에서는 ‘Machine Data’라 부릅니다. 다양한 Server와 Database, Smartphone과 Tablet, Sensor들이 쉴 새 없이 ..
얼마 전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14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매년 초 열리는 CES는 세계 전자, 가전 업체들이 자사의 첨단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라 경쟁을 넘어 많은 관람객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올해 CES를 통해 떠오른 또 하나의 키워드는 ‘사물인터넷’입니다. 사람과 기기가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것을 넘어서서 기기와 기기가 인터넷으로 연결돼 소통이 가능해 진다는 것입니다. 스마트 폰 시장은 이미 시장이 성숙되어 있는 상황에서 기업과 정부는 ICT에 대한 새로운 환경 변화를 모색해야 했습니다. 이에 스마트 Device를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한 이 시점에 등장한 것이 바로 사물 인터넷(loT : Internet of Thing)인 것입니다. 시장조사 기관 가트너는 IoT 기기가 20..
기술사(技術士)가 되기 위해 도전하고 노력하는 수많은 예비기술사분들에게 기술사가 과연 무엇이며 어떠한 일들을 하며 그들의 역할은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정확히 대답하는 분들은 얼마 없습니다. 기술사라는 본질적인 의미의 이해 없이 그냥 본인이 근무하는 업계에서 성공하기 위한 최고의 자격을 취득하면 저절로 부귀영화가 따라 오겠지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갖고 시작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에 먼저 기술사된 입장에서 기술사의 정의와 그 직무/역할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의 정확한 이해전달이 필요하다 생각되어 아래와 같이 컬럼 상에 기술사에 대한 내용정리를 하고자 합니다. 기술사(技術士)란 한자 뜻풀이상에서 살펴보면 어떤 분야에 재주와 재능을 뜻하고, 영어로는 ‘Skill’, ‘Technique’, ‘Technology’라..
- Total
- 5,169,718
- Today
- 16
- Yesterday
-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