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융합물류 시장에서도 클라우드 컨테이너 서비스의 정석(定石)은 왜 Cloud Z CP인가?
SK(주) C&C 블로그 운영자 2020. 10. 14. 14:00
다양한 산업 분야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클라우드 컨테이너 서비스는 이미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고 최근에는 글로벌 융합 물류 시장에도 클라우드 컨테이너 서비스 도입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컨테이너 서비스, 과연 어떤 특징이 있길래 이렇게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일까요?
컨테이너 서비스의 첫번째 장점은, 어플리케이션의 운영을 위한 신속한 환경 구성과 배포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기존 On-premise나 VM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담당자가 OS, 미들웨어 설치 및 환경 설정을 해야 하고 개발자들은 어플리케이션 소스코드, 라이브러리 및 설정 파일 등을 빌드하며 그 결과물을 인프라 관리자가 할당해 준 미들웨어에 배포를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에 반해 컨테이너 서비스는 앞서 설명했던 과정을 하나의 컨테이너 구성하고 이미지로 관리하면 됩니다.
즉, OS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까지 모든 환경을 하나의 컨테이너로 구성하고 이미지로 관리하기 때문에 컨테이너 런타임 환경만 준비되어 있으면 어떤 환경에서든 어플리케이션 배포를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서비스의 두번째 장점은 이식성입니다.
첫번째 장점에서 언급했던 컨테이너를 실행해 주는 컨테이너 런타임 환경은 On-Premise 나 Public Cloud 어디에든 구축을 할 수 있는데요.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 이미지만 있으면 Private / Public Cloud 에 상관없이 똑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배포하고 서비스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번째 장점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속도입니다.
VM 서비스와 비교를 해보면, VM은 Hypervisor를 통해 각 Guest 머신 별로 모든 리소스를 독립적인 공간으로 가상화를 하는 반면, 컨테이너는 Guest OS 없이 컨테이너 런타임 통해서 Host OS의 커널을 공유하고 리눅스의 가상화 기술인 namespace, cgroup을 통해서 컨테이너 자원을 격리하고 제어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VM에 비해 몇배의 실행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속도는 서비스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요.
서비스 오픈이나 이벤트 등 사용자 접속이 급격히 증가하더라도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주로 Auto-Scale 기능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 속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컨테이너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이유는 앞서 언급한 장점과 더불어 컨테이너 관리 플랫폼의 발전이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가 다양한 산업 분야의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쳐로 많이 적용이 되면서, 하나의 비즈니스 서비스를 위해서 수십~수백개의 마이크로 서비스가 개발이 되는데 이러한 MSA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에 앞서 언급한 컨테이너 서비스의 장점이 결합되면 Auto-Scaling, 무중단 배포와 같은 기능을 아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로 수백 개의 컨테이너를 인프라 관리자가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Kubernetes 와 같은 컨테이너 관리 플랫폼도 더불어 발전하였고 지금은 거의 모든 Public Cloud Service Provider들이 EKS, AKS, GKE, IKS와 같은 Managed Kubernetes Servic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클라우드 컨테이너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의 빠른 배포와 수정에 있어 뛰어난 장점이 있습니다. 실행 속도 또한 빠르며 컴퓨팅 환경에 제약도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기업들이 컨테이너 서비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즈니스 특성상 빈번한 사업 환경 변화, 예측 불가능한 수요 변동, 다양한 장애, 사고 발생이 일어나는 물류 시장에서 클라우드 컨테이너 서비스는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SK㈜ C&C는 글로벌 물류 전문 기업 FSK L&S의 글로벌 융합 물류 시스템인 ‘KEROL(케롤)’을 클라우드 컨테이너 서비스인
‘Cloud Z CP(Container Platform) on AWS’를 활용해 클라우드로의 전환을 완료했습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를 적용하여 서비스 중단 없이 신속한 버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AWS EKS(Elastic Kubernetes Service)를 기본 제공 하면서 컨테이너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운영을 지원하는 Cloud Z CP on AWS를 채택했습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서비스들을 자체 구축하거나 CSP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통합해서 구축해야 하는데요. Cloud Z CP 는 CSP의 Managed Kubernetes Service 를 컨테이너 기반 플랫폼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클러스터 운영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운영에 필요한 서비스를 All-in-One 방식으로 제공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Cloud Z CP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관리 기능을 통해 컨테이너 상태를 모니터링해 Kubernetes에서 제공하는 리소스 할당, 자동 복구 기능, 오토스케일링 등을 서비스에 적용 할 수 있습니다.
Cloud Z CP에서 제공하는 CI/CD 파이프라인 서비스를 통해서 Rolling Update, Blue/Green 등의 방식으로 서비스 중단 없이 신규 버전의 빌드/배포를 수행할 수 있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물류 시장의 변화와 이에 따른 비즈니스 확장 및 추가 요구사항으로 인한 수시 빌드/배포와 정기/비정기 이벤트 등은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도 Cloud Z CP는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Cloud Z CP는 플랫폼 운영 서비스를 같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3년여 동안의 플랫폼 운영으로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자동화된 장애 인지/전파 시스템을 구축하여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크고 작은 잠재적 장애 발생 시에 사람의 개입 없이 각 운영자 및 분야별 기술 전문인력들에게 전화, SNS, 이메일로 상황을 전파하여 장애 시간 및 고객 서비스의 중단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비즈니스 민첩성을 높이기 위해Application Modernization을 계획하고 있거나 이를 위해 기존 Monolithic Architecture를 Microservice Architecture 로 전환하려고 한다면 Cloud Z CP가 최적의 Platform임을 자부합니다.
또한 이미 Kubernetes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들도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필수 서비스들을 추가 비용 없이 All-in-one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대비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MSA를 도입할 때 가장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 API를 어떻게 관리할 것 인가에 대한 부분인데요.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 API Management 서비스를 올 10월에 추가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MSA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Memory Cache서비스인 Redis, Message Service에 해당하는 Kafka Software를 같이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함께 출시할 예정입니다.
두번째는 현재 Kubernetes 기반의 서비스에서 비용을 최적화 할 수 있는 Serverless 기반의 플랫폼으로도 확대할 예정입니다. 예를 들면, 아마존의 Fargate 기반의 ECS, Azure의 ACI등도 함께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끝으로 보안 등의 이유로 On-Premise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관리해야 하는 기업을 위해서 On-Premise 환경에도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Public이든 Private Cloud 공급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단일화된 뷰를 통해서 컨테이너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Cloud Z CP는 단순히 개발 편리성을 제공하는 기능적 도구라기 보다는 다양한 산업에 적용이 가능한 플랫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빅데이터, ML/DL 기반의 서비스를 구성할 때 기반이 되는 플랫폼으로써 이미 많은 사례를 통해 성능, 자동화, 신속성 측면에서 최적의 플랫폼임이 검증되었습니다.
이제 융합물류까지 다양한 업종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Cloud Z CP.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으시면 댓글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
'Biz & Tech > Cloud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brid Cloud로의 Journey" 우리 회사에 맞는 클라우드 전략 찾기! (0) | 2020.12.18 |
---|---|
[숨은 Digital 고수를 찾아서] Journey to Cloud SK(주) C&C 박민식 리더 (0) | 2020.10.16 |
헌터스 아레나: 레전드 클라우드 제트와 함께하다. (0) | 2020.07.16 |
빅데이터 분석 담당자 주목! OOO이 레벨업 해 드립니다. (0) | 2020.07.15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