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 기업들은 클라우드 도입 시, 비용 효율화보다 비즈니스 속도와 유연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속도와 유연성을 보장하는 애플리케이션/서비스의 개발, 배포 및 운영의 최적화 방안으로 멀티 클라우드를 주목하고 있죠.

보안, 처리 속도, 데이터 보호, 규제 준수 및 특정 벤더 종속 이슈들도 기업이 멀티 클라우드로 눈을 돌리는 이유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멀티 클라우드 선택에도 고민이 필요합니다. 멀티클라우드 도입에 따른 개발, 운영, 기술 지원 등 쉽지 않은 문제들이 있기 때문이죠.

기술 완성도, 개발 및 운영 역량, 기술 지원 및 전문 인력 확보 여부 등 신기술 도입에 따른 이슈들도 검토해야 합니다.

멀티 클라우드를 단일 환경처럼 통합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적인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최근 MS 애저(Azure) 국내 1위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기업인클루커스지분을 인수한 SK C&C AWS 사용 고객을 위한 클라우드 컨테이너 서비스 플랫폼Cloud Z CP on AWS를 출시하며 멀티클라우드 서비스 확산의 신호탄을 날렸습니다.

컨테이너 서버 자원을 인프라의 제한 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배포하고 이동시키며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서비스인 Cloud Z CP IBM 클라우드만 사용이 가능했으나, AWS를 시작으로 MS 애저, 구글 클라우드 등으로 컨테이너 서비스 플랫폼 탑재 범위가 확대될 계획입니다.

이제부터 전문가를 통해 Cloud Z CP on AWS에 대해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Q) 최근 멀티 클라우드가 주목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더 이상 Single Cloud 만으로는 비즈니스 연속성과 가용성을 보장할 수 없겠다는 회의론이 생겼습니다.

하나의 Cloud 가 무너지더라도 다른 Cloud비즈니스를 계속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Multi Cloud의 필요성이 부각된 것입니다.

이러한 시장 흐름의 따라서 Cloud Z CP on AWS 서비스를 출시하였고 향후에 MS Azure와 구글 클라우드 상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Q) Cloud Z CP on AWS가 출시 되었습니다. 어떤 서비스인가요?

Cloud Z CP(이하 ZCP) on AWS를 완전히 풀어 쓰면 Cloud Z Container Platform on AWS Elastic Kubernetes Service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름으로 유추할 수 있듯이 Public Cloud AWS Kubernetes Service 상에서 동작하는 Container Platform이라고 보면 됩니다.

오픈 소스인 Kubernetes Container Orchestration Platform 시장에서 사실상의 표준인 Defactor로 인정받고 있는데요.

이러한 Kubernetes를 각 CSP에서는 완전관리형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ZCP도 이러한 시장 흐름에 따라서 기존에 IBM Cloud 상에서만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면 이번에 Multi Cloud 시장흐름에 따라 AWS 상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Q) 주요 특징을 설명해 주세요.

첫번째, Kubernetes 기반의 플랫폼이기 때문에 Kubernetes의 특징과 장점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데요.

조건과 제약 사항에 따라서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스케줄링하는 Automatic Binpacking, Self-healing, Auto scaling 과 같은 Kubernetes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각 CSP가 제공하는 Kubernetes Service만으로는 Container Application 개발과 운영이 쉽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부가서비스들이 필요로 하는데요.

개발 측면에서 Container Application Code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가 필요하고 이를 Build 해서 만들어진 Image를 저장하기 위한 Registry 서비스가 요구됩니다. 그리고 Kubernetes Platform 상에서 지속적으로 배포하기 위한 CI/CD Pipeline 같은 서비스들도 갖춰야 합니다.

운영에 있어서는 Monitoring Logging 서비스를 이용해서 현재 Application 의 상태를 확인하고 장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Alerting 서비스를 이용해서 빠르게 인지, 전파, 원인분석,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Kubernetes Platform 영역과 앞서 말한 부가서비스가 24시간 365일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완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데 ZCP는 이러한 것들을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장점을 가진 ZCP를 기존에 IBM Cloud 뿐 아니라 AWS 상에서도 그대로 누릴 수 있습니다.


Q) 도입 후 기대효과는 무엇인가요?

비즈니스 민첩성을 높이기 위하여 Application Modernization 을 계획하고 있고 이를 위해 기존 Monolithic Architecture Microservice Architecture 로 전환하려고 한다면 ZCP 는 최적의 Platform입니다.

또한 Microservice Architecture 전환을 고려하고 있는 고객뿐 아니라 이미 Kubernetes 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들도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필수적인 서비스들을 추가 비용 없이 All-in-one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 대비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로 구성되어 있게 때문에 특정 벤더에 Lock-in 되지 않고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다른 클라우드로 쉽게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