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회사의 업무를 하거나 개인적인 일을 할 때, 시간에 쫓겨본 경험이 있으시죠?

이럴때면 누군가가 내 일을 해줬으면 하는 바람도 많이 생기기 마련이죠. 특히 많은 자료를 살펴보거나 고객의 불편사항을 처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면 업무 효율을 위해서라도 누군가 업무를 도와줘야 합니다. 

그래서일까, 요즘 챗봇을 도입하려는 기업과 개인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하는데, 챗봇의 활용범위를 생각하면 고객상담을 통한 지원 서비스가 제일 먼저 떠오르곤 합니다. 그러나 챗봇은 사내 업무효율 향상이나 특정한 전문지식분야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정보가 쌓여가는 회사와 수많은 정보를 다루는 전문가는 빠른 시간 내에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데요.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한 메신저 UI를 통해 정보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다면 바쁜 하루의 시간을 200%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팔방미인의 챗봇을 구축하기 위해선 어쩌면 많은 기술이 필요할지도 모르지만, SK주식회사의 에이브릴을 만난다면 어려운 기술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AIBRIL에 의한 챗봇 프레임워크, “A-Chat”

SK 에이브릴은 IBM 왓슨이 제공하는 API를 한글화하여 국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에이브릴의 챗봇 프레임워크 A-Chat(에이챗)은 챗봇 앱을 손쉽게 개발 할 수 있도록 일반 대화모델과 필수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몇번의 클릭을 통해 서비스를 생성하면 기본 대화가 가능한 챗봇을 완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대화모델을 추가하고 기존 내용을 수정할 수 있도록 편리한 UI를 제공합니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SK에이브릴의 “A-Cha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당신을 위한 챗봇 프레임워크, A-Chat

에이챗은 챗봇 개발 비용을 혁신적으로 절감시키면서 쉽고 빠르게 챗봇 구현이 가능해 경제성과 편리성 모두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런 A-Chat은 누구든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한 UI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에이브릴 포털에 회원가입 후 누구든 30일간 무료로 사용해보며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챗봇이 손쉽게 구현되는지 하나씩 살펴 볼까요? 

AIBRIL Portal 로그인 후 A-Place, Solution에 위치한 에이챗으로 접속해주세요! 



에이챗 메뉴는 새로운 챗봇 만들기’ , ‘나의 챗봇’ , ‘시작하기’ , 가이드’ , ‘자료실’ , ‘공지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Web)가이드는 챗봇을 구성하기 위한 개념설명 및 순서를 상세하게 설명해두었는데요. 이미지와 함께 사용법이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어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에이챗으로 나의 챗봇을 만들어 볼까요?

 

메뉴 상단에 있는 새로운 챗봇 만들기를 선택하시면 3가지(Free, Lite, Standard) 서비스 Plan이 소개되는데, 이번 소개글에서는 Standard 버전을 활용해보겠습니다. 

서비스명을 적고 Standard 버전을 선택해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대화모델을 선택하는 단계가 나옵니다. 대화모델이란 챗봇 제작 시 공수가 가장 많이 들어가는 부분으로,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고객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완벽하게 준비 된 대화세트 구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에이챗은 약 40종류의 질문세트에 대한 대화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대화모델 구성 시간을 단축 시켜줍니다. 



대화모델은 총 10가지로 제공되며, 카테고리 별로 다양하게 제공되는 대화모델 중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카테고리만 선택하여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대화모델은 아래와 같은 대화를 가능케 합니다. 

대화모델은 총 10가지로 제공되며, 카테고리 별로 다양하게 제공되는 대화모델 중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카테고리만 선택하여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대화모델은 아래와 같은 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Greeting(인사말) – ‘안녕’, ‘감사합니다와 같이 고객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인사말에 대한 대화흐름으로 구성된 대화 모델입니다. 

Company(회사소개) 사용자의 회사 전화번호나 주소, 이메일 등 회사 정보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게 구성된 대화모델입니다. 문의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여 간편한 응답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Chatbot_about(챗봇소개) – ‘넌 몇살이야?’ ‘어떤업무를 처리할 수 있나요?’와 같은 챗봇의 업무영역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여, 챗봇의 기본적인 소개를 할 수 있습니다. 

Chatbot_other(챗봇관련) – ‘챗봇, 너는 로봇이야?’ , ‘컨디션 괜찮아?’와 같이 챗봇 자체에 관련된 질문을 할 경우 답변을 제공하는 대화모델입니다. 

SmallTalk(기본 대화) 챗봇 업무영역 외 질문에 응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대화모델로 힘내’ , ‘ㅋㅋㅋ과 같은 대화 흐름 및 응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motion(기분, 감정) – ‘오늘 기분이 좋아’ , ‘너무 졸리다등 고객의 기분에 대한 대화를 할 경우에 반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Timenow(현재시간) 현재 시간에 대해 질문할 경우 한국 표준시 기준으로 답변을 제공하는 대화모델입니다. 

Food(음식 추천)메뉴 추천, 음식 추천에 대한 질문에 반응하는 대화 모델로 오늘 뭐 먹을까?’ , ‘저녁 메뉴 추천과 같은 질문에 응답할 수 있습니다. 

Weather(날씨) 날시 대화모델은 현재 Beta로 서비스 되고 있는데요. 날씨에 대한 질문은 API를 통해 고객이 원하는 지역에 대한 현재 날씨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Wiki(위키피디아) 위키검색 대화모델은 2단계의 대화 흐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키 검색후에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면 위키피디아의 검색 결과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어 더욱 폭넓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챗봇을 통해 위키피디아의 풍부하고 유용한 지식을 접할 수 있다니!

정말 매력적이지요? 

이렇게 대화모델까지 선택하여 생성하면 기본 대시보드 화면이 나타나는데요. 몇 번의 클릭만으로 챗봇이 생성되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챗봇이 잘 돌아가는지 확인해볼까요? 

화면 우측 상단에 보면 빨간색 메신저 아이콘이 항상 있는데요. 이 아이콘을 누르면 메신저가 나타나고 이 메신저를 통해 답변이 적절하게 제공되는지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메신저에게 안녕하세요라고 메시지를 보내면 첫 답변을 하게 되고, 인사부터 연락처, 날씨 질문에 대해 답변하는 챗봇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특징은 답변에는 어떤 대화모델을 사용해 전달하는지 Intent(질문의 의도) 정보가 나오는데 이 정보를 활용하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때, 쉽고 빠르게 Intent를 찾아 작성할 수 있겠죠?

 

간단한 테스트 후 챗봇을 수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시보드 화면에서 구성 메뉴로 들어가면 서비스 생성시 선택한 대화모델이 보이는데요, 대화모델을 선택하면 질문/답변세트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질문세트 예시가 많을수록 챗봇이 고객질문에 대한 다양한 의도를 잘 파악하고, 고도화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에이챗이 제공하는 일반적인 대화 모델의 질문세트 예시를 보시면 정말 다양한 예시가 기본으로 주어져 있어 많은 예시를 생성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또한 질문을 수정하고 추가하는 것도 매우 간단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챗봇을 만들어 갈 수 있죠! 



또한 에이챗에서는 기본 대화모델뿐만 아니라 맞춤형 대화모델 또한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적용하고 싶은 대화세트를 csv파일을 이용하여 업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내 비즈니스에 필요한 대화모델을 csv파일을 통해 관리한다면, 회사 파트마다 필요한 대화구성을 담당자가 작성하여 서비스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겠죠! 

이제 챗봇을 메신저 서비스와 연계하는 과정만 남았네요.

앞서 소개한 에이챗 메뉴 소개에 있었던 자료실에는 web연동과 페이스북 메신저, 카카오톡과 연계하는 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에이챗에서 제공하는 API-Key값을 통해 SDK API 연계할 수 있고 손쉽게 메신저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