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모바일 게임 시장의 성장, 해외 시장 확대 등 대한민국 게임 업계는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는 기회 앞에 서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도 있죠. 소수의 대형 브랜드가 주도하는 시장 구조 속에서 중소중견 게임사와 스타트업이 설 자리가 마땅치 않다는 것입니다. 몇 년 전만 해도 모바일 게임 분야에 미래를 건 스타트업의 등장이 활발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죠. 그래서 국내 게임 업계에서 활동하는 중소중견 게임사가 제2의 게임 강국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세계 최강 서비스 3개가 뭉쳤습니다.
게임 개발에만 집중해도 해외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다면?
글로벌 인프라 No.1 서비스인 클라우드 Z, 게임 컨설팅 & QA 분야의 No.1 서비스인 IGS, 매니지드 서비스의 No.1 굿어스 3사가 모여 게임 산업에 특화된 ‘All-in-One Package’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All-in-One Package’의 목표는 개발사가 게임 기획과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시간, 비용, 인력 부담이 큰 QA, 고객지원과 과금 등의 비즈니스 기반 구축, 원활한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설계와 운영에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이제 해외 시장 진출에 따른 진입 장벽은 없습니다. 게임사는 기획과 개발에만 신경을 쓰면서 필요한 인력과 자원을 투입하면 됩니다. 비용도 쓴 만큼만 지불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큰 예산을 투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게임의 QA까지 월납이 가능한 서비스, 아마 처음 들어 봤을 것입니다.
가상 게임 회사 Z의 신작 모바일 게임 출시기
가상의 스타트업 게임 개발사 Z사의 이야기로 ‘All-in-One Package’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살펴보죠. Z사의 목표는 올 하반기 중 신작 게임 1종을 세계 시장에 선보이는 것입니다. 스타트업의 특성상 팀은 최소의 정예 인력으로 구성합니다. 기획, 아트, 프로그램 등 중요 역할 위주로 팀을 꾸렸죠. 프로듀서와 디렉터는 대표가 직접 챙깁니다. 최소한의 조직 구조로 게임 개발팀을 꾸리다 보니 게임 개발 외에 다른 중요한 것은 신경 쓸 여력이 없습니다.
글로벌 출시를 위한 철저한 QA와 주요 진출 국가 언어에 대한 완벽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과금, 고객 지원 같은 비즈니스 인프라도 구축해야 하고 글로벌 게임 유저에게 안정적인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설계와 운영도 필수죠. 세계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흥행 요소를 갖춘 신규 게임을 만들었다 해도 QA, 현지화, 비즈니스 기반, 글로벌 규모의 인프라가 없다면? Z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은 신작 게임의 알파 버전을 만들어 퍼블리셔를 찾아다니는 것뿐일 겁니다. 어렵게 계약을 맺고 독점으로 판권을 넘겼는데! 게임이 대박이 났다면? 모든 노력의 결실은 퍼블리셔로 가겠죠. Z사는 준비 중인 신작의 게임성과 흥행성 모두 자신이 있습니다. 그래서 개발부터 출시까지 직접 챙겨 보기로 마음을 먹습니다.
원스톱 서비스 어디 없나? 너무 복잡한 글로벌 시장 진출 준비
Z사가 필요한 것은 QA 서비스, 매니지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세 가지입니다. 따로 알아보려니 선택지가 많아 너무 복잡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의 경우 해외 유명 클라우드 사업자와 CDN 사업자의 게임사를 위한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을 찾다 보니 머리만 복잡해집니다. 그러던 중 모든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All-in-One Package’의 존재를 알게 된 것이죠. Z사는 세계 No.1 수준의 서비스들을 원스탑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 마음이 끌렸습니다. 800명의 전문 인력을 보유한 IGS 이름만으로도 QA와 현지화 작업에 대한 걱정이 사라졌고, 게임 서비스에 최적화된 서비스 인프라 설계, 구축, 운영으로 국내 유명 게임사들의 사랑을 받는 굿어스의 매니지드 서비스이니 두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클라우드 역시 2개월 무료 크레딧 제공을 기본으로 전 세계 60개 데이터센터 간 네트워크 트래픽 비용이 제로이면서, 베어메탈 및 인공지능 등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Z는 최상의 선택입니다. 유명 클라우드 업체와 CDN 업체가 말하는 혜택을 한 업체가 모두 제공하는 유일무이한 사례죠.
Cloud Z가 게임 산업에 딱 맞는 이유
모바일 게임, RPG 게임광들은 '반응 속도'에 시쳇말로 목숨을 겁니다. PC 게이머는 남보다 빠른 반응 속도를 위해 고가의 키보드와 마우스 구매에 돈을 아끼지 않죠. 모바일의 경우 반응 속도는 전적으로 게임사의 서버 인프라를 믿어야 합니다. 만약 모바일 게임으로 대전을 펼치고 있는데, 갑자기 내 캐릭터가 한발씩 느리게 반응한다면? 유명 앱 마켓 게임 차트에 이름을 올리기는 어려워도 사라지는 것은 순간이죠. 국내 유명 모바일 게임 업체들이 Cloud Z로 모이는 이유입니다.
Cloud Z는 여러 게임사가 가상 머신으로 인프라를 나눠 쓰지 않고 베어 메탈 서버 기반의 단독 서비스 환경을 제공합니다. 글로벌 서비스를 하면 서비스 트래픽이 24시간 365일 꾸준히 높은 수치로 들어오죠. 아이템 이벤트라도 하면 폭주 수준으로 사용자 접속이 증가합니다. 어떤 환경에서도 베어메탈 서버는 안정적인 성능과 서비스 품질을 제공합니다. 특별 이벤트를 할 때는 오토 스케일링 기능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트 자원을 잠시 늘려서 사용하면 됩니다. 사용자가 느끼는 반응 속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네트워크 지연 현상을 없애기 위해 큰돈을 들여 CDN을 늘이지 않아도 됩니다. Cloud Z는 전 세계 60개 곳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간 데이터 전송 비용이 무료이기 때문에 최적의 속도 보장을 위해 세계 곳곳에 설치한 서버에 게임 파일을 올려 딜레이 없는 쾌적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Biz & Tech > Cloud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제트 통합 서버 보안 솔루션 Deep Security (0) | 2018.04.12 |
---|---|
Cloud Z를 클라우드 완전체(完全體)라 부르는 이유는? (0) | 2018.03.23 |
성공적인 글로벌 게임 론칭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Cloud Z All-in-One Package 알아보기 (0) | 2018.03.20 |
Digital Transformation 어디서 어떻게 시작하지? (0) | 2018.02.14 |
- Total
- 5,171,077
- Today
- 95
- Yesterday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