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베어메탈 서비스 방식이란?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가격적인 측면과 더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역시나 성능적인 부분이 아닐까 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들은 기본적으로 서버 가상화, 데스크탑 가상화를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 제공 시스템을 두고 있는데, 같은 하드웨어를 사용하더라도 가상화 방식에 따라 그 성능이 달라집니다




가상화 방식에는


1. 호스트 OS에 영향을 받는 가상서버 방식(Hosted virtualization)의 가상화

가상화라는 것이 하나의 하드웨어를 여러 개의 가상 시스템이 자원을 나눠서 사용하는 방식을 뜻한다 볼 때 실제 하드웨어와 가상 시스템 사이에 호스트 OS라는 운영체제가 하다 더 있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가상 시스템간의 스케쥴링이나 자원 사용 배분 등은 호스트 OS의 제어에 따라서 제공되거나 제어가 되며 호스트 OS자체의 속도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가상서버 방식의 단점입니다. 하지만 가상서버 방식은 구성 자체가 무척이나 편하고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단점을 커버하고 남을 만큼 크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가상서버 방식]



2.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갖다쓰는 베어메탈 방식(Bare-metal virtualization)의 가상화

베어메탈 방식은 가상버서 방식이 호스트 OS를 거쳐 하드웨어에 접근하는 것과 달리, 직접 하드웨어에 접근하여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베어메탈 방식의 장점이다



[베어메탈 방식]



관리를 맡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가상서버 방식을 선호하지만, 더 좋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 받기 위해서는 특히 온라인 비즈니스에 있어 높은 트래픽을 요구하거나 동시 접속자수가 많은 온라인게임 또는 데이터 중심의 애플리케이션을 주로 이용할 경우 처럼 고성능을 요구 할경우에는 가성서버의 가상화(퍼블릭 클라우드) 성능만으로는 감당하기가 힘듭니다.

따라서, 클라우드를 사용함에 있어 성능과 비용을 모두 고려할 경우, 가장 좋은 방안은 신속한 확장성과 경제성이 장점인 가상서버 가상화 방식(퍼블릭 클라우드)와 안정적인 고성능을 수행 할 수 있는 베어메탈 방식 서비스를 동시에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성능과 고성능을 보장하는 Cloud Z의 베어메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