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Aibril Evangelist 김남일] Aibril Chatbot Framework 활용하기
SK(주) C&C 블로그 운영자 2017. 9. 19. 09:37오늘은 Aibril Chatbot Framework에 대해 소개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Aibril Chatbot Framework는 ‘Chatbot Application’ 개발 시 활용한다면 Chatbot의 대화모델 구성 시간을 줄여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개발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대화 서비스(Watson Conversation)API Tool을 활용하여 챗봇을 개발해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인사말부터 시작해서 인텐트를 생성하고, 그에 관련된 질문을 입력하고, 새로운 질문이 들어왔을 경우 이를 재학습 하기까지 수많은 반복 작업과 데이터에 대한 고민이 수반되어야 함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간혹 Aibril은 이런 질문들을 많이 받고 있는데요.
“혹시 미리 만들어진 대화 모델은 없나요?”
“여러 명이 동시에 개발할 수 잇는 방법은요?”
“현재까지의 대화 내용에 대한 통계를 볼 수 있는 방법은요?”
이런 많은 고민들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고자, Aibril은 ‘Chatbot Framework’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Aibril Chatbot Framework’ 통해 기본적인 인사말이나 특정 도메인에 대한 질문에 개발자의 대화모델 구현 없이 바로 적용이 가능하며, 여러 개의 Workspace를 하나로 통합해주고 통계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Aibril Chatbot Framework’의 주요 기능을 간단히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여 웹용 챗봇을 제작해 보도록 할께요.
먼저, Aibril console에서 대화 서비스를 신청합니다.
개발정보에 보시면, “Chatbot Framework”버튼이 생성된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것을 클릭하시면 “Aibril Chatbot Framework” 시작화면이 반갑게 맞이할거에요.
하단의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면 시작합니다.
가이드 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Aibril Chatbot Framework’에서 미리 준비해 둔 대화 모델과 함께 자신이 직접 만든 대화 모델을 합칠 수 있어, 좀 더 편리한 개발이 가능합니다.
상단 메뉴에는 위의 이미지처럼 가이드, 서비스, 배포, 연계 설정, 통계 메뉴가 있습니다. Chatbot 가이드는 말 그대로, 프레임워크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볼 수 있고, 서비스에서는 기본 대화, 도메인별, 커스텀 모델에 대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배포에서는 web용 SDK를 내려받을 수 있어서 이를 통해 내 서비스에 웹 챗봇을 쉽게 붙일 수 있습니다. 연계 설정은 다른 기능(Open API, DB 등)과의 연계를 위한 설정 작업을 할 수 있으며, 통계에서는 Chatbot이 주고받은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기초 설명은 이 정도로 마무리하고, 이제 간단한 ‘chatbot’하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하나의 워크스페이스를 대화 서비스 Tool에서 작성하였으며, 이를 ‘Aibril Chatbot Framework’ 의 커스텀 모델로 결합하여 하나의 대화 모델로 구성해 보고자 합니다.
‘Aibril Chatbot Framework’의 서비스 탭에서 ‘Aibril Chatbot 서비스 가입’을 클릭하시면 새로운 서비스가 생성됩니다.
여기에서 기본 도메인을 “Cross Industry”로 설정하여 IT Help Desk 기능이 추가된 챗봇을 만들고자 합니다. “생성”버튼을 클릭합니다.
나의 서비스에서 방금 생성한 서비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챗봇을 구성해보기 위해 서비스 정보란의 ‘구성’을 클릭합니다.
General, Domain, Custom의 세 가지 영역 중 General은 일상적인 인사말이나 흔히 사용되는 대화 모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몇 가지 기능을 보니 아직 대화 모델이 구성이 안 된 것도 있지만, “wiki검색”이라는 기능은 꽤 쓸 만한 것 같으니, 한번 사용해 보세요!
Domain 영역에서는 HelpDesk 관련한 몇 가지 기본 모델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취향에 따라 on/off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Custom에서 아까 미리 작성해 둔 대화 모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누르면, 추가될 인텐트 목록에 대한 확인과 함께 커스텀 대화 모델 한 개가 생성됩니다.
이제 대화 모델이 완성되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서비스의 ID는 “나의 서비스”의 “신임정보”를 누르시면 확인하실 수 있으며, 이 정보를 통해 개발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맨 상단의 “배포”를 통해 웹에서 동작하는 ‘Chatbot’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배포” 메뉴를 클릭한 뒤 “Aibril Chatbot Web SDK Download”를 클릭합니다.
압축파일을 풀면, 위와 같이 파일이 생성되는데요. Index html 파일을 편집기로 열어봅니다.
Index html 안에 “service_id”의 위에서 받아놓은 신임정보를 입력하면 완성입니다.
이제 index html을 클릭해 보시면 실제 대화창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Web 용 챗봇 만들기 너무 간단하죠?
본 기능을 사용하면서 느낀 장단점으로는 챗봇 만들기가 매우 수월해졌다는 장점과 함께 아직은 미완성 같은 대화 모델이나 약간은 아쉬운 일부 기능 등이 보인다는 점이지만, 향후 대화 모델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예정이며, 통계 기능 개선이나, 다양한 메신저와의 손쉬운 연동 기능 등도 제공될 예정이라고 하니 하루 빨리 추가 기능이 업데이트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제 많은 분들께서 ‘Aibril Chatbot Framework’를 직접 사용하셔서, 조금이나마 개발이 편리해지길 기대합니다.
'Biz & Tech > AI & 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날 기념] 에이브릴(Aibril). 한글의 위대함으로 인공지능의 길을 찾다. ‘ (0) | 2017.10.09 |
---|---|
[DCC 2017]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료서비스 사례 (0) | 2017.09.28 |
'AIBRIL’의 무한한 세계로 초대합니다. AIBRIL 포털 운영자 김남일 수석 인터뷰 (0) | 2017.09.18 |
에이브릴(Aibril)과 함께한 하루 (0) | 2017.09.18 |
- TAG
- AI, Aibril, Aibril Chatbot Framework, Aibril Chatbot Web SDK Download, Aibril Chatbot 서비스 가입, AIBRIL Evangelist, API, chatbot, Chatbot Application 개발, Chatbot 가이드, custom, domain, GENERAL, Index html, Open API, SDK, Web 용 챗봇 만들기, 김남일, 대화 서비스, 배포, 서비스, 에이브릴, 에이브릴 에반젤리스트, 에이브릴 챗봇, 연계 설정, 인공지능, 챗봇, 통계, 프레임워크
- Total
- 5,169,731
- Today
- 29
- Yesterday
-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