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가별 로봇 산업 진흥 정책 동향을 살펴보자. 미국은 첨단 제조 파트너십을 통해 로봇 등 첨단제조기술 연구개발에 22억불을 투자, 일본의 경우에는 성장 전략의 핵심으로 로봇 혁명을 추진하고 있으며 로봇 신전략에 따른 로봇혁명 이니셔티브 협의회를 발족하였다. 중국은 중국 로봇 발전 계획을 수립하였고 중국 제조 2025 중 로봇산업을 핵심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2020년까지 로봇시장 점유율 45%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계 산업용 로봇 증가 추이

<출처 : http://www.worldrobotics.org/uploads/media/Executive_Summary__WR_2015.pdf>


제조업 공정의 변화를 보면 과거에는 소품종 대량생산 및 로봇 작업 공간 분리였다면 현재는 다품종 소량 생산 및 로봇과 작업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추세이다. 로봇과의 작업 공간 공유함으로써 발생되는 여러 문제가 발생이 되는데 작업 유연성 및 다기능 요구, 비정형 작업 대상물 인식 및 조작, 품질 유지 및 관리를 위한 공정 조건의 변화, 환경인지 및 작업자 안전, 연계공정과의 정보 공유 등이 있다.

환경인식 기술의 사례로 청각, 촉각, 후각, 미각이 있다. 청각의 예로는 실제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입체적으로 제공한다. 원리는 양쪽 귀에 도달하는 소리의 시간차를 파악해 입체감과 현실감을 상승시킨다. 방법으로는 머리 모양 물체에 마이크 설치 후 귀와 비슷한 크기, 촉감의 재질을 씌워 녹음을 한다. 청취자에게 소리의 방향감, 거리감, 공간감을 전달한다.


촉각의 예 : Impacto in three interactive sport simulators

<출처 : https://youtu.be/k5e4mXQLq54>


미각의 예 : Digital Taste Interface

<출처 : https://youtu.be/PBpd3aEl0bg>


후각의 예 : FEELREAL VR Mask and NIRVANA Helmet

<출처 : https://youtu.be/mIin6K_iNSA>


자동 번역 분야에 인공지능 적용 사례를 보자. 캐나다 토론토대학교가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을 지난 2015년 12월에 발표하였다.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고 내용에 맞는 이미지를 생성, 관련 언어로 치환이 가능하다. 향후에 문장의 의역 및 요약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로봇산업은 연평균 20% 전후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각국 정부의 정책 지원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기존 로봇 기술 만으로는 환경에 대한 적응력등의 한계가 있다. Open innovation을 통해 각 산업간 융합의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로봇 산업과 인공지능 등 IT 산업의 융합은 기술 발전의 속도를 더욱 가속화 시킬 것이며, 더욱 큰 시장을 창출 할 수 있는 촉진제 역할을 할 것이다. 기존 산업의 발전은 물론 새로운 사업의 기회가 다가올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2016 Tech Leadership Con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