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BiZEN] 윈도우 2003 서버 EoS(End of Service)에 따른 대응 방안
SK(주) C&C 블로그 운영자 2014. 8. 1. 11:01
Executive Summary
마이크로소프트社의 윈도우 서버 2003 서비스 지원 종료에(2015년 7월) 따라, 일부 기업은 MS에 친화적 License 정책을 이유로 오픈 소스 기반의 운영 체계로 Transformation을 추진 중에 있다.
개요
마이크로소프트社(이하 “MS”)의 윈도우 서버 2003의 서비스 지원 종료가 2015년 7월14일, 약 1년여 앞으로 다가왔다. 내년 7월14일부터 각종 버그수정 및 보안 취약점 해결을 위해 배포하던 패치 제공이 중단될 예정이며, 이로 이한 보안위협이 예상된다.
기업에서 운영 중인 서버들은 사내 인프라 전반에 관한 정보, 고객 관련 정보 등 외부 유출에 매우 민감한 정보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1)EoS 전까지 대응방안을 수립하여 미리 준비해야 한다.
반면, MS는 서버 2003을 대체하는 2008 버전의 라이선스 판매를 중단하고, 2012 버전 구매 후 다운그레이드 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지원한다. 그러므로 대상 서버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 입장에서는 서버 2012 버전을 구매할 수 밖에 없으며 구매 후 2012 또는 2008 버전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다만, 2012 버전의 라이선스 가격 정책이 MS에 유리하도록 변경되어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 MS 서버2003 서비스 지원 종료 - 2015년 7월 14일
▶ 취약점 패치 불가로 인한 보안 이슈 발생 예상
▶ 서버 2012 라이선스 가격 정책 변경
사용자 영향도
서버 2012 버전의 라이선스 가격 정책이 변경됨에 따라 기존 대비 서버 업그레이드를 위한 비용 상승이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 된다.
구매가 필요한 라이선스 수량 기준을 “물리서버” 에서 “프로세스”로 변경하였고, 한 개의 서버 라이선스로 최대 두 개의 프로세서 까지만 지원 가능하다.
예를 들어, 8개의 프로세서가 장착된 물리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기존 라이선스 정책 대비 4 배의 라이선스 수량을 구매 해야만 한다.
또한, 기존 2003, 2008 버전의 2)CAL 라이선스로 2012 서버 접속이 불가 하여 해당 시스템 사용자 수 만큼 별도의 CAL(Client Acess License)을 구매 해야 한다.
CAL 구매 비용은 기존대비 평균 15% 상승하였다.
▶ 서버 라이선스 구매 비용 상승
▶ 서버 2012용 CAL 별도 구매 필요
시장 반응 및 현황
기업 시장에서는 이러한 저작권 社 중심의 가격 정책 변경에 따라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대안으로 급 부상하고 있다. 저비용 또는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저작권 이슈에서 자유롭다는 점,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 개발자 그룹의 지원으로 취약점에 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 MS 서버 제품 군에 비해 탁월한 운영 안정성이 입증되었다는 점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IDC에 따르면, 서버 운영체제 시장에서 오픈소스 기반 서버(리눅스 등)의 시장 점유율은 매년 10% 이상의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15년을 기점으로 5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 증권거래소, GS홈쇼핑, LG화학 등이 리눅스 기반 서버로의 이전을 완료 하였으며, SKT, KT,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NHN 등을 중심으로 도입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추세이다.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급 부상
▶ 리눅스 중심의 서버 OS 시장 재편
대응방안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이번 서버 2003 서비스 지원 종료에만 국한 되지 않은 근본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서버 가상화 등을 통해 기존 MS 인프라를 유지하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있으나, 지속적으로 반복될 MS 제품 군 EoS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의 완전한 이전” 이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겠지만, 기업의 운영 상황에 따라 단 기간 내 적용이 불가능 하거나, 매우 오랜 기간과 높은 이전 비용이 필요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신규 서버 도입 시, 성능이 높은 프로세스 중심으로 구매 하여 필요 라이선스 수량을 줄이고, 서버 가상화 등과 병행하며 단기적인 대응과 동시에 지속적인 기술검토와 조직 역량 강화를 통해,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의 이전이 연착륙 될 수 있도록 준비 해야 할 것이다.
▶ 오픈 소스 기반으로 서버 운영 체계 전환
▶ 당사의 경우도 54%를 점유(83대 서버 중 45대)하는 윈도우 2003서버를 대상으로 오픈 소스 OS 도입 검토 필요
글> SDS팀 OA기술기획/사업관리 파트 이현송 과장
'함께해요 C&C > another C&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기업] 행복ICT, 취약계층과 함께 ICT로 세상을 이롭게 하다 (0) | 2015.05.20 |
---|---|
[BiZEN]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0) | 2014.08.22 |
Mobile T-world 모바일접근성 프로젝트 Case Study (1) | 2014.03.12 |
T world 웹접근성 프로젝트 Case Study (1) | 2014.01.17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