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인식은?
Digital Transformation | 2017.10.27 09:52
한국정보산업연합회는 국내 기업 임직원 1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인식도를 조사한 <국내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인식 조사>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인식도는 어느정도 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할까요?
1. 국내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인식
국내 기업들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잘 알고 있으며, DT가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실질적인 준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10명 중 8명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하여 ‘알고 있다’라고 응답했습니다.
또 DT가 자사의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칠 영향에 대해 응답자의 61%가 ‘높음’이라고 응답했고 ‘낮음’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3%에 불과하여 DT가 기업 비즈니스에 미칠 영향력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기업들의 DT 준비도는 38%가 ‘낮음’ 또는 ‘매우 낮음’이라고 응답해 DT의 영향력에 대해 인식 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준비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기업의 DT 준비도가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16%에 그쳤습니다.
한편 기업의 현재 DT 단계에 대한 질문에는 ‘준비기’라고 응답한 비율이 46%로 가장 많았으며 ‘도입기(29%)’가 뒤를 이었으며 무관심이란 응답도 17%에 달했습니다.
국내 기업 임직원들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해 응답자의 74%가 '알고 있다'라고 답했고 26%가 '모른다'라고 응답해 DT에 대한 인지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DT 관심도에 대해 응답자의 35%가 '높음', 19%가 '매우 높음'으로 나타나 전체 응답자의 54%가 DT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으며, 단 18%만이 '매우 낲음' , '낮음'으로 응답했습니다.
2. 국내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 방안
국내 기업들은 DT 추진 시기를 향후 3년 내, 추진 부서로는 IT기획 / 운영, 추진 목적으로는 ‘비즈니스 모델 확대’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T 추진시기로는 응답자의 36%가 ‘향후 3년 내’라고 응답하였고 ‘향후 1년 내(24%)’, ‘현재 진행 중’(14%) 순으로 응답하여 현재부터 향후 3년 간이 DT 추진을 위한 적기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T 추진을 주도하는 부서로는 ‘IT기획/운영’이 46%로 가장 많았고 ‘경영지원/혁신’(23%), ‘R&D’(15%), ‘기타’(10%), ‘마케팅’(6%)의 순으로 나타나 IT담당 부서가 DT추진의 핵심 부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DT 추진 목적에 대해서 ‘비즈니스 모델 확대’를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고객 경험, 커뮤니케이션 혁신’, ‘프로세스 운영 혁신’, ‘제조공정의 스마트화’, ‘기업 조직문화 개선’ 순으로 응답하여 DT를 통한 비즈니스 확대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T 추진으로 인하여 기대하는 효과는 ‘신성장 동력확보’가 45%로 가장 많았고 ‘매출 증대’(23%), ‘고객 만족도 증대’(19%), ‘비용 절감’(12%)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들은 DT 추진시 ‘전문인력(40%)’과 ‘조직 및 프로세스 확립(39%)’을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DT 추진을 위해서는 전문 인력이 반드시 필요하고 DT 추진을 측면 지원할 수 있는 조직 및 프로세스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시 영향을 미칠 기술
DT 추진 시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에 대해 ‘빅데이터’를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 ‘머신러닝/딥러닝’ 등의 순으로 나타나 데이터 관련 기술이 DT를 주도할 핵심 디지털 기술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4.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인식 제고 및 확산을 위한 정부 지원 방안
DT 인식 제고 및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대해 ‘규제 및 법률 정비’에 대한 응답이 55%로 가장 많았고 ‘연구개발 지원’(22%), ‘컨설팅 및 교육 제공’(12%), ‘전문인력 확보 지원’(11%)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 FKII 이슈리포트
'Digital Trans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크 알본(Dirk Ahlborn) HTT 창업자가 말하는 4차산업혁명, 그리고 혁신의 길 (0) | 2017.11.02 |
---|---|
[가트너 2018]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 살펴보기 (1) | 2017.11.01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인식은? (0) | 2017.10.27 |
DT는 클라우드를 통해, 고객의 접근성은 더 편리하게!! (0) | 2017.10.23 |
[오픈랩] AI / Big Data 영역 대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Use Case 및 기술 공유 (0) | 2017.10.13 |